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7)
iOS) Scene(3) - 코드로 씬 작성 씬 작성에 관련된 클래스 1. 뷰 컨트롤러 UIViewController를 상속받는 뷰 컨트롤러이다. 뷰 컨트롤러 안에 씬에 대한 구성을 하는 코드 작성한다. 우선 콘텐츠 출력에 맞는 뷰를 선택해서 뷰에 대한 객체 생성하고 뷰 객체의 속성을 이용해서 화면상에 어떻게 나타날지 작성한다. 뷰 컨트롤러 안에 들어가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뷰를 이용해서 컨텐츠 출력 코드 컨트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다루는 코드 뷰 구조 작성 코드 씬의 생명주기 뷰 컨트롤러가 하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씬에 대한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것이다. 우리가 ios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게 되면 화면 단위 즉 씬을 여러 개 만들게 되는데 그 씬 사이에 전환이 발생하게 된다. 각 순간에 동작하는 라이프사이클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 씬..
iOS) Scene(2) - 인터페이스 빌더로 씬 작성 인터페이스 빌더로 씬 작성 뷰를 이용한 씬 작성 뷰란? 씬의 콘텐츠 출력 씬을 작성할 때 씬은 씬에 속한 뷰를 이용하여 화면에 나타낸다. 뷰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콘텐츠 출력이다. 콘텐츠 종류에 맞는 뷰 UIKit은 여러 개의 뷰를 제공하는데 자신이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맞는 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글자를 출력해야 하면 글자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해주는 뷰를 사용해야 한다. 이미지를 출력해야 하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뷰를 사용해야 한다. 뷰 작성과 속성 이렇듯 컨텐츠 종류에 맞는 뷰를 선택하고 그다음 뷰를 작성하고 속성 값을 넣어준다. 화면상에 나타나기 위해서는 씬에 대한 뷰 구조에 추가해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뷰 구조 씬에 뷰를 배치할 경우 자동으로 ..
iOS) Scene(1) - 씬이란? 씬이란? iOS 앱에서 씬은 화면 단위를 의미한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보여주고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는 하나의 단위이다. 콘텐츠 출력 사용자와 상호작용 UIKit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작성을 위한 요소 제공 다음의 것들이 UIKit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것들이다. UIView 콘텐츠 출력용 뷰 UIControl 사용자 입력 가능한 컨트롤 UIViewController 씬 제어: 뷰 컨트롤러 씬 구성 요소 아래 자료는 인터페이스 빌더의 도큐먼트 아웃라인에 있는 것이다. 총 세 개의 씬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씬을 펼쳐보면 씬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나타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View Controller와 View 이다. View Controller 코드를 이용해서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사용..
terminal) 터미널 사용법 기초 터미널 사용법 mkdir directoryName이란 이름으로 현재 디렉토리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mkdir directoryName cd 현재 디렉토리에서 해당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directoryName home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 현재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 즉 현재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있는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 한 번에 여러 디렉토리를 거쳐 이동할 수 있다. cd ~/Documents/study/ios/ ls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볼 수 있다. ls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에 대해 권한 등 자세히 볼 수 있다. ls -al touch 해당 이름의 파일을 만든다. touch fileName.확장자 ..
git) git으로 협력하기 - fork git으로 협업하기 - fork fork 협업하고자 하는 git repository를 선택한 후 해당 repo를 fork한다. 우측 상단에 있는 fork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내 repository에 해당 repository가 생성된다. clone 깃 레퍼지토리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지정한 후 터미널에서 해당 디렉토리를 연다. 이는 두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터미널에서 디렉토리 생성 finder에서 디렉토리 생성 후 해당 디렉토리를 오른쪽 클릭하여 터미널을 연다. 그 다음 깃에서 클론한다. 이미지에 나와있는 대로 클릭한 후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쓴다. git clone repositoryPath repositoryPath는 clone 버튼을 누른 후 복사된 주소를 그대로 붙여넣기하면 된다...